2022년 4월 21일 오늘의 상한가 종목인 NPC우, 한일사료, 하인크코리아, 삼성머스트스팩5호를 공부해보자.
<코스피 일봉차트>
<코스닥 일봉차트>
강보합으로 장을 마친 목요일
코스피 : 2,728.21pt(9.52pt, +0.35%)
코스닥 : 929.68pt(0.75pt, +0.08%)
수급동향을 보면 기관의 매수세가 들어왔고 제조업과 전기전자 업종 위주로 순매수 하였다.
코스피 수급동향 개인 5,672억원 매도, 외국인 576억원 매도, 기관 6,372억원 매수
코스닥 수급동향 개인 109억원 매수, 외국인 319억원 매도, 기관 341억원 매수
등락종목을 보면 코스피는 상승종목이, 코스닥은 하락하는 종목이 더 많았다.
코스피 상승종목 443개 하락종목 400개 보합 84개
코스닥 상승종목 627개 하락종목 709개 보합 127개
업종별로 보면 15개 업종이 상승하고 7개 업종이 하락했다.
상승업종 : 비금속광물(+1.3%), 건설업(+1.2%), 전기가스업(+1.1%)
하락업종 : 의료정밀(-1.4%), 섬유의복(-1.3%), 음식료품(-0.9%)
오늘 시장에서 눈여겨볼만한 테마는 원자력 발전 관련이었다.
윤 대통령 당선자의 대표 공약인 탈원전 정책 폐기! 언론에 따르면 윤 당선인의 인수위원회에서 대통령 임기 중 원자력 발전소 18기의 수명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박성중 인수위 간사는 '원전 계속운전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는데 설계수명 만료일 5년~10년전까지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고 한다.
이에 시장에서 한신기계, 보성파워텍, 우리기술 등 관련주들이 상승을 보였다.
어느덧 내일 금요일이다. 내일 시장 좋기를!
간 밤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장을 마쳤다. 위에 차트를 보면 알겠지만 다우랑 S&P500은 빨간 상승 부분이 더 많았지만 나스닥은 내내 파란색이었다.
다른 두개 지표에 비해 나스닥이 크게 하락했던 이유는 넷플릭스의 급락때문이었다. 넷플릭스라고 하면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고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기간에 아주아주 엄청나게 성장했었다. 하지만 엔데믹을 바라보는 지금 미국은 뭐 마스크도 거의 안쓰는 것 같고 아무렇지 않게 바깥나들이를 하고 있으니 예전처럼 집에서 넷플릭스를 보는것보다는 영화도 보고 나들이도 보고.. 어쨌든 그래서 그런지 1분기 실적이 예상에 빗나간 어닝 쇼크를 기록했다. 무려 -35% 넘게 하락했는데 우리시장이었으면 하한가가 있지만 미국은 그런게 없으니 어마어마하게 하락. 덩달아 다른 OTT 업체들도 하락 마감했다.
이걸 기점으로 기술주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도 약해져서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등도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그리고 이날 연준의 베이지북도 발표되었다. 미국의 경제활동이 2월 중순 이후 보통속도로 확장했으며 소비 지출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전국적으로 줄면서 가속화되었고 제조업 활동은 전반적으로 견고했다고 평가했다. 물가와 관련해서는 인플레이션 지난 보고서 이후 강한 수준을 유지했고 이는 기업들이 투입비용을 고객들에게 전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제유가는 강보합 흐름을 보였는데 WTI 5월 인도분 가격이 +0.19% 상승한 102.75달러에 마감했다. 100달러 이하로는 잘 안떨어지는 느낌이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 3,142.20 (-0.35%)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 2.87%
원/달러 환율 : 1,236원
1. NPC우
시가총액 : 298억원
정부가 전기차용 노후 2차전지(사용후 배터리, 폐배터리)를 활용한 신사업 육성을 위해 관련 법제 마련에 나선다는 소식
한편 NPC는 지난해 현대글로비스와 전기차 배터리 전용 용기를 공동개발하고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
2. 한일사료
시가총액 : 4,039억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곡물·사료가격이 상승세를 보일 것일는 전망
그래도 그렇지 이렇게 급등하다니 ㄷㄷ
3. 하인크코리아
시가총액 : 988억원
모바일 정보기술(IT) 응용 액세서리 제품 제조 판매 전문기업 하인크코리아가 지난해 매출액 141억원, 영업이익 28억원을 달성. 전년 대비 각각 81%, 175% 증가한 규모
하인크코리아 측은 국내 사뢰적 거리두기 조치가 전면 해제되면서 ‘간편결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모바일 기반 키오스크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플랫폼 사업부 구축과 신사업 진출을 추진
4. 삼성머스트스팩5호
시가총액 : 222억원
스팩주 이상 급등
감사합니다!
